HRD-net, 그린아트컴퓨터학원 자바초보(2일차, 변수, 이스케이프문자)

    자바, 변수

     

    변수의 정의: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지칭한다.

     

    변수란 말 그대로 변화하는 수입니다.

    변수를 선언해 놓고, 그 선언된 변수는 변화하는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변수 test 소스코드

     

    package com.hyjeong.Variable;

    public class VariableTest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Variable Test");

    int age; // 정수(int) 값을 저장하는 age 변수 선언
    double realNumber; // 실수(double) 값을 저장하는 value 변수의 선언.

     

    // System.out.println("int age value is ["+age+"]"); // 초기화해 놓지 않으면 값이 출력되지 않는다.
    // System.out.println("double value value is ["+realNumber+"]"); // 초기화해 놓지 않으면 값이 출력되지 않는다.


    int a, b, c;  // 이렇게 선언 가능합니다.

     

    // 변수의 작성규칙
    // 1. 변수의 첫 글자는 숫자를 넣으면 안 된다.
    // 2. 영어의 대소문자 구별을 한다. 
    // 3. 첫 문자는 소문자 그다음은 첫 문자를 대문자로 한다.  (maxNum)
    // 4. 자바 예약어 사용금지 (ex: void, new, private, boolean 등)


    age = 10;  // 변수의 사용
    System.out.println("int age value is ["+age+"]"); // 변수의 확인.

    int ageEx = 20; // 선언과 동시에 사용.
    System.out.println("ing age value is ["+ageEx+"]"); // 변수의 선언과 사용 

     

    // 리터럴이란?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값을 리터럴(literal)이라고 부른다.

    }
    }

     

    변수 선언 시 naming convention(명명 협약)이 정말 중요합니다.
    이는 권고가 아니라 약속입니다.
    보통 카멜(낙타)표기볍 이라고 합니다. 이는 문자 가독성 측면에서 정말로 중요합니다.
    개발자로 시작 시 이 부분은 기초이자 나중에 고치기 어려운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꼭 염두에 두고 가세요.
    부연드리면 이렇습니다. web에서는 문자열 가독성을 위하여 보통 "_"를 사용하고, java에서는 대소문자 변환을 "_"대신 사용합니다

     

    int age

     

    나는 이름 "age"라는 걸 정수형으로 사용할 거라고 밥그릇을 만들어놓는 것.

    그럼, 그 밥그릇에는 정수만 들어감.

    왜?

    내가 정수로 해놨으니깐.

     

    double realNumber

     

    더블은 그냥 내가 사용하는 숫자. 실수

    밥그릇만 선언해놓는 거.

     

     

    age = 10;  // 변수의 사용

    이 부분의 해석은 유클리드 기하학처럼 생각하면 안 된다.

    age라는 정수형 밥그릇 안에다가 10이란 값을 집어 넌 거라고 생각해야 한다.

     

    강조 강조!! 값을 넣은 거라고 생각해야 한다. 

     

    절대 결과나 동등이 아니다.

     

    이것을'사용'이라고 표현한다.

    밥그릇에 값을 넣은 것이다. 

     

     

    System.out.println("int age value is ["+age+"]"); 

    더하기(+) 표시는 문자열을 붙여준다.

     

     

    int ageEx = 20; // 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변수 선언과 동시에 사용한 거다.

    사용이라는 말을 실무에서는 잘 안 쓴다.

    사용과 동시에 초기화라고 말한다.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 리터럴이란

    상수로 20 이런 식으로 넌 것들을

    하드코딩이라고 하고 책에서는 리터럴이라 한다.

     

    실습

    1. 영희와 철수의 나이의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주세요.

    1-1 class 이름은 SumAge로 정의되었습니다.

    1-2. 변수의 선언부와 사용부는 분리되어야 합니다.

    1-3. 영희의 나이는 10세이고 철수의 나이는 20세입니다.

     

     

    이렇게 하면 안 된다.

     

     

     

    이렇게 해줘야 완벽.

    이름을 잘 지어줘야 한다. 

     

    하지만 결괏값은 같다. 

     

    문제가 바뀌었다.

    선언과 동시에 사용해주세요~

    하면 이렇게 코드를 바꿔줘야 한다. 

    이렇게 사용해주면 되는데

    이러면 코드가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업계는 도약이나 비약을 하면 안 된다.

    처음에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하지 않고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보자. 

     

    자바, 이스케이프 변수

    package com.lymin.variable;

    public class VariableEscapeChar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VariableEscapeCharTest");

     

    String tab="\t";

    System.out.println("escapeChar Test tab-----"+tab+"--------------");

     

    String newLine ="\n";

    System.out.println("escapeChar Test newLine-----"+newLine+"--------------");

     

    String backSlash ="\\";

    System.out.println("escapeChar Test backSlash-----"+backSlash+"--------------"); } }

     

    이스케이프 문자
    이스케이스 소스코드 편집기

     

    소팅, 솔팅 : 소스코드 정리하는 법

    ctrl + a  눌러서 

    ctrl + sift + f

     

    누르면 정리가 다 된다. 

    깨끗하게 예쁘게.

     

    이걸 하는 이유는. 예쁘게 만들기 위함이기보다는

    스페이스가 추가로 들어가기만 하면 다른 사람이 검색을 못하고

    사용하질 못한다. 

     

    그러면 협업을 못한다.

    큰 프로젝트를 하지 못하게 되다. 

     

    실무에서 자기 포지션과 운신의 폭이 줄어들게 된다.

    실무에서는 협동의 아이콘이 되어야 한다. 

     

    몸에 꼭 익히기!

    실무에서 이런 걸로 싸우지 말자. 

     

    프로젝트 만든 거 전체 검색하기

    ctrl + h

     

    해야 한다. 

    그래서 검색이 되어서 내 것이 걸려야 한다. 

     

    그래야 저 성과자가 안된다. 

     

    String tab

    캐릭터는 문자 하나하나.

    스트링은 문자들을 모아 논거

    string이라는 문자가 모아논 바구니 이름을 tab이라고 지어진다.

     

    이스케이프 문자

    package com.lymin.variable;

    public class VariableEscapeChar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VariableEscapeCharTest");

     

    String tab="\t";

    System.out.println("escapeChar Test tab-----"+tab+"--------------");

     

    String newLine ="\n";

    System.out.println("escapeChar Test newLine-----"+newLine+"--------------");

     

    String backSlash ="\\";

    System.out.println("escapeChar Test backSlash-----"+backSlash+"--------------");

    }

    }

     

     

    언제 필요하냐면, 자기가 로그를 쓸때!.

     

    지금은 몇 줄 안 되지만 

    나중에

    몇만 라인 되는 경우가 있다.

    어느 때?

    블랙컨슈머 등등 문제가 발생 시 일을 처리할 때

    로그를 봐야 할 때가 있다.

     

    내 거 찾을 때. 모가 문제가 되는지 찾을때 필요하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