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간도 돈도 자유롭게 프리입니다. 오늘은 제가 초서독서법 1단계와 2단계를 마치고 3단계를 통해서 하는 책서평 쓰기. 첫 번째 책 레비앙이 부동산공부를 했던 방법인 책으로 시작하는 부동산공부의 책을 리뷰해 볼까 합니다. 서평 쓰는 방법은 여기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혹시 서평을 쓰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이 글을 같이 확인해 주세요! 서평을 쓰는 목적은 다른 사람이 그 책을 읽게 만들고 싶게 만드는 거라는 것! 유의하고 새기면서 한번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평 쓰는 방법 + 북에세이 쓰는 방법(ft. 레비앙, 송숙희) 서평쓰는 방법 + 북에세이 쓰는 방법(ft. 레비앙, 송숙희) 안녕하세요 시간도 돈도 자유롭게 프리입니다. 저는 앞으로 당분간 북리뷰 혹흔 북 에세이라는 것을 작성할 예정이에요..
안녕하세요 시간도 돈도 자유롭게 자유로운 하유입니다. 저는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 부동산을 아무리 공부하고 싶어도 부동산 공부를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건 저도 마찬가지 였어요. 그 이유를 한번 살펴봐요. 부동산투자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이유 그리고 특히 젊은사람들은 주식을 먼저 접한 후에 부동산을 접할정도로 나이에 따른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왜일까요? 많은 사람들은 다들 첫번째 이유로 종자돈의 이유로 참가를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부동산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다름아닌 너무나 가깝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슨소리냐고요? 바로 당연하게 우리를 보호하고 있는 울타리란 집이 있기 때문이죠. 어렸을때 가정환경이 안좋았던 사람은 안좋은..
김학렬의 부동산 투자 절대원칙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사히 8일 차에 접어들면서 22 전략을 실천하고 있는 자유로운 정하윤입니다. 2주 차 때가 훨씬 더 재밌네요. 아마도 장소를 바꿔보라는 제안을 받았고 그 제안에 따라서 장소를 바꾸니 ㅎㅎㅎ 훨씬 더 의욕도 생기고 재밌기도 하고 집중도 잘 되고 그러긴 하네요. 오늘의 주제는 지금 읽고 있는 책은 무엇이며 왜 이 책을 선택했는지에 대한 주제입니다. 저는 지금 김학렬의 부동산투자 절대원칙을 읽고 있습니다. 부동산투자라고 했지만 전적으로 아파트 투자 및 주거용 부동산에 치우쳐져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아직 전체적으로 다 읽은 건 아니고 중간까지만 읽어서 뒤쪽에 다른 부동산에 대해 나올 수 도 있지만 일단은 반정도 읽어나간 시점에는 다분히 그렇습니다. 저는 이 책..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하기 안녕하세요. 오늘 챌린지 22일 차 정하유입니다. 경제신문을 읽는 이유 궁금하시죠? 저는 행크 티브이에서 재테크 공부와 부동산 공부를 함께하고 있는데요. 매일경제 우선으로 봅니다. 전날에는 어떤 신문기사 스크랩이 있었는지 볼까요? 2028년에 서울과 더 가까워지는 아산, 평택(서해선, 경부선) 경제신문 읽는이유 1. 세상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 2. 팩트를 확인하기 위해! 3. 미래의 흐름을 알기 위해! 4. 언론은 정부태 책/정책 맛보기! 뒷북이다. 즉, 종합적으로 보자면 세상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신문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닌 내 생각을 곁들여 유추하고 그 유추한 게 맞는지 확인하는 훈련을 하기 위해 신문을 읽는 거죠. 또한 미래가 어떻게 흘러가고 유망할지 상상하는 재미..
https://biz.sbs.co.kr/article/20000050289?division=NAVER_RELATED_NEWS
창원지역 분석하기. 행크에듀의 강남여의주님이 공개해주시고 전수해주신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손품이라는 조금은 ㅎㅎ 자극적인 제목을 가지고 포스팅을 해볼게요. 오늘은 창원지역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지역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정보들을 꼼꼼하게 많이 담다 보니 긴 포스팅이 예상됩니다! 끝까지 봐주세요^^ 그전에 왜 아파트인가? 그리고 어떤 어플과 도구들을 사용하는가. 실제 손품 파는 과정 그리고 왜 이런 작업들을 해야 하는가?! 에 대한 이유 끝으로 글을 마무리해보겠습니다. 목차 왜 아파트인가? 어떤 어플과 도구를 쓰게 되는가 0. 아파트 투자 & 사용하는 어플 실제 손품 파는 과정 1. 위치(지역, 행정구역) - 해당 지역, 행정구역 찾기 - 상업구역 찾기 2. 인구(인구수, 인구이동 등) - 인구의 증가량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