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 경제신문읽기 챌린지(1일차)
- 보도자료/신문스크랩
- 2022. 9. 16.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하기
안녕하세요.
오늘 챌린지 1일 차 정하유입니다.
경제신문을 읽는 이유 궁금하시죠?
저는 행크 티브이에서 재테크 공부와 부동산 공부를 함께하고 있는데요.
송 사무장님은 매일경제 메이저 하나만 보신다고 하셔서
물론 고수의 영역이라 한 군데만 보는 게 있겠지만
저도, 많이 봐봤자 저를 혼란시키는 노이즈라고 생각해서
검증된 곳인 매일경제 위주로 신문 스크랩을 하겠습니다
경제신문 읽는 이유
1. 세상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
2. 팩트를 확인하기 위해!
3. 미래의 흐름을 알기 위해!
4. 언론은 정부태 책/정책 맛보기! 뒷북이다.
즉, 종합적으로 보자면 세상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신문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닌 내 생각을 곁들여 유추하고
그 유추한 게 맞는지 확인하는 훈련을 하기 위해 신문을 읽는 거죠.
또한 미래가 어떻게 흘러가고 유망할지 상상하는 재미도 있습니다.
이제 저와 같이 신문스크랩을 하고 제 생각도 보고
댓글도 많이 달아주시면서 함께 공부하도록해요.
오늘의 광고 : 쿠팡 파트너스
신문기사를 읽다 보면 특정 제품이 필요하거나 유망하다고 느껴지죠?
신문기사와 관련한 제품들을 소개해드립니다!
저에게도 유용하지만 미래를 보는 안목이라면
이런 제품이 여러분에게도 필요하겠죠?
https://blog.naver.com/fksgml34/222889301743
hayou0302 : 네이버 블로그
다양한 상품을 소개합니다.
blog.naver.com
경제위기가 오면 당장 먹는것부터 힘들어지니
비상식량으로 유통기한이 긴 통조림 제품을 들여놓자.
신문기사 스크랩
신문기사 링크 :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2/09/816925/
미국판 주담대 금리 6% 돌파…뉴욕증시 하락 마감 [월가월부]
불안정한 투자 심리…매도세만 부각 미국 8월 소매판매 전달보다 0.3↑ 연준 금리인상 속도전 명분될 수도 2년·10년만기 국채 수익률 상승세 `미국판 주담대 금리` 6% 돌파해 2008년 이후 처음…대
www.mk.co.kr
3줄 요약
15일 기준 뉴욕증시 대표 주가들이 모두 하락 마감했으며 cpi 물가지수도 높았고,
렌트비(월세)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는 그대로 인상 황으로
계속되는 금리인상은 지속되는 분위기이며 미국 주담대 이자도 6%를 넘으며 주택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
잡히지 않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바이든 정부는 긴축정책을 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채권시장에서는 국채 수익률이 오르는 분위기로
'시중 장기 금리 가이드라인'역할을 하는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bp 오른 3.45%에 거래를 마쳤다.
장기국채 수익률이 오르면 미국판 주담대인 모기지론의 금리도 오르므로 6%를 넘긴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며 대출 신청건수를 측정하는 지표인
'시장 종합지수'(MCI)도 255를 기록해 1999년 12월 이후 최저를 나타내고 있다.
기사에 대한 본인 생각 / 마침
일단 요약을 하며 든 생각은.
지금이 금융위기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 든다.
어느 하나의 사건이 크게 발발하기만 경제는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의
심리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면이 강하기 때문에 시한폭탄의 심지가
점점 더 타들어가고 있는 느낌이다.
누군가 표현하기를 한 번에 크게 터뜨리지 말고 작은 것들, 그러니까
감당 가능한 것들을 하나하나 차근차근 터뜨려서 수습하면 그 여파가 작을 수도 있다고 한다.
물론 그 폭탄에 피해를 입은 사람은 고통스럽겠지만
예상할 수 없고 회복 불가능한 큰 폭탄보다는
예상할 수 있고 수습 가능한 작은 폭탄들을 선택할 수 있는 게 낫지 않겠냐는 의견이며
나 또한 동의한다.
이럴 땐 현재 소비를 줄이고 빚을 줄이고 현금을 확보하는 게 좋아 보인다.
때문에 현재 예적금 금리가 함께 높아져서 은행에 돈이 많이 몰리는 현상이 보인다.
하지만 경제위기가 왔을 때 항상 뱅크런과 함께 동반됐으며
내 은행에 있는 통장잔고는 숫자에 불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증시도 마찬가지 일거다.
또는 현금을 가지고 있더라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서
실물가치로 바꾸는 게 어려울 수도 있겠다.
이럴 때일수록 감가상각이 되는 자산에 돈을 두는 것보다는
부동산 같은 현물자산이 대표적으로 좋은 돈의 저장고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오늘도 재밌게 보셨다면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한
❤️공감, 하트❤️
댓글 부탁드려요!
'보도자료 > 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주에 발표되는 3분기 중요 지표들(챌린지 3일차) (5) | 2022.09.18 |
---|---|
내가 좋아하는 성수지역 : 2040서울플랜까지 봐야한다.(챌린지 2일차) (2) | 2022.09.17 |
임대차3법 도입후 2년이 지난지금 개정?(전셋값하락) (0) | 2022.03.15 |
공급차질, 올해 서울 분양 예상했던 아파트들이 분양에 차질 (0) | 2022.02.27 |
부동산은 하락세(각자 다른입장에서 보게되면?)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