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과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공장(챌린지31)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하기

     

    안녕하세요. 

    오늘 챌린지 31일 차 정하유입니다. 

     

    최근 바로 토요일 일요일 카카오톡 데이터 센터 화제로

    전 국민이 먹통이 되는 사건이 있었죠.

     

    그래서 티스토리도 작동하지 않아서 챌린지를 이어 할 수 없었어요. 

     

    그래도 이번만은 예외사항으로 이틀 

    매일신문기사 공부 포스팅을 못 올렸더라고 이번엔 

    이어서 챌린지를 카운트 할게요! 


     

    경제신문을 읽는 이유 궁금하시죠?

    저는 행크티비에서 재테크 공부와 부동산 공부를 함께하고 있는데요. 

     

    매일경제 우선으로 봅니다. 

     

    전날에는 어떤 신문기사 스크랩이 있었는지 볼까요?

    https://muscledesign.tistory.com/184

     

    기후변화, 오늘의 선택이 미래를 좌우하는시기(챌린지30)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하기 안녕하세요. 오늘 챌린지 30일차 정하유입니다. 드디어 30일차!!! 매일매일 경제신문을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 미래를 예측해보는 시간을 가진날들이 30일이나

    muscledesign.tistory.com

     

     

     

    경제신문 읽는이유

    1. 세상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

     

    2. 팩트를 확인하기 위해!

     

    3. 미래의 흐름을 알기 위해!

     

    4. 언론은 정부태 책/정책 맛보기! 뒷북이다.

     

    즉, 종합적으로 보자면 세상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신문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닌 내 생각을 곁들여 유추하고

    그 유추한 게 맞는지 확인하는 훈련을 하기 위해 신문을 읽는 거죠. 

     

    또한 미래가 어떻게 흘러가고 유망할지 상상하는 재미도 있습니다.

    이제 저와 같이 신문스크랩을 하고 제 생각도 보고

    댓글도 많이 달아주시면서 함께 공부하도록해요. 

     

     

     

    신문기사 스크랩

    신문기사 링크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2/10/914424/

     

    평생 일군 공장 `눈물의 헐값 매각`…올 中企 파산 37% 급증

    연말 중기 파산 도미노 경보 원자재값 급등·고금리 직격탄 2월 57社 파산, 8월에는 104社 구미산단 공장 외벽 곳곳에는 임대·매매 현수막으로 뒤덮여 인건비 급등한 건설 하도급社 연말까지 최대

    www.mk.co.kr

     

    3줄 요약 

    중소기업은 대내외 변수에 대해 대기업보다 훨씬 취약한 편이며 장기간 코로나19 사태로 흔들리던 중소기업들이 경기침체와 더불어 고물가, 고금리, 강달러인 삼고 현상에 무너지기 시작했다. 

     

    파산하게 되는 경위는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급감, 전방산업의 구조적 침체(예, LCD 산업), 화재 등 중대재해 발생으로 인한 경영악화를 꼽는다. 

     

    그러면서 가장 최대의 치명적이며 어려움을 호소하는 원인은 최근 급격한 금리인상과 인건비 상승에서 경영악화의 목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법인 파산 건수 통계를 보여주는 표
    올해 법인 파산 건수
    법인이 파산에 다달하는 구조
    법인이 파산에 이르게 되는 과정

     

    기사에 대한 본인 생각 / 마침

     

    일단 기사 내용 중 썸네일로 사용된 자극적인 사진은 이 기사와 무관하다고 가정하겠다. 

     

    왜냐하면 공장 임대를 하는 사람은 일단 직접 공장을 운영하는 사람이 아닐 것이며 마찬가지로 공장(부동산) 물건을 다수 보유한 사람도 실질적으로 공장을 하는 사람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썸네일 사진이 마치 줄도산하여 공장 물건 부동산이 많은 것처럼 보이는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닌 것이다. 

     

    이제 기사 내에서 말하는 약한 고리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그리고 기사 내에서는 법인이 파산에 이르는 다양한 루트를 보여주는 사람들과 인터뷰를 했고. 

     

    코로나19라는 항목을 제외. 

    전방산업의 침체와, 화재 및 중대재해 발생으로 인한 파산은 약한 고리와 관련이 없어 보이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법인파산이 2월 이후 현재까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당연히 

    금리의 인상일 것이다. 

     

    10년여 넘게 제로금리의 환경 소에서 사업을 영위하다

    급격히 증가하게 된

     

    금리로 인해 사업 건전성이 악화된 것이 분명한 것이다. 

     

    금리가 이렇게 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돈을 움직이는 힘이 된다는 것

     

    이번 금리 상승기에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다. 

     

     

     

     

    오늘도 재밌게 보셨다면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한

    ❤️공감, 하트❤️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