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사와 구글이 손잡고 일했다(ft. 암호화폐)

매일 경제 신문 스크랩 하기


안녕하세요.
오늘 챌린지 29일 차 정하유입니다.

경제신문을 읽는 이유 궁금하시죠?
저는 행크티비에서 재테크 공부와 부동산 공부를 함께하고 있는데요.

매일경제 우선으로 봅니다.

전날에는 어떤 신문기사 스크랩이 있었는지 볼까요?
좀비기업의 한계금리는 연이자 3%(챌린지 28)

경제신문 읽는 이유

1. 세상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

2. 팩트를 확인하기 위해!

3. 미래의 흐름을 알기 위해!

4. 언론은 정부태 책/정책 맛보기! 뒷북이다.

즉, 종합적으로 보자면 세상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신문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닌 내 생각을 곁들여 유추하고
그 유추한 게 맞는지 확인하는 훈련을 하기 위해 신문을 읽는 거죠.

또한 미래가 어떻게 흘러가고 유망할지 상상하는 재미도 있습니다.
이제 저와 같이 신문스크랩을 하고 제 생각도 보고
댓글도 많이 달아주시면서 함께 공부하도록해요.


신문기사 스크랩

신문기사 링크 :
https://www.mk.co.kr/news/it/view/2022/10/907423/

구글 클라우드, 넷마블 블록체인 생태계 'MBX' 구축 지원

구글 클라우드는 넷마블[251270]의 블록체인 기반 게임 생태계 `MBX`에 블록체인 데이터와 게임 생태계를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3일 밝혔다. 구글 클라우드는 넷마블의 블록체

www.mk.co.kr

3줄 요약

구글 클라우드는 넷마블 블록체인 게임 생테계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했다.

넷마블 측 석영민 대표는 개방형 지속 가능한 플랫폼이 되길 바란다는 포부를 밝혔다.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측 장화진 대표는 블록체인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기대하며 블록체인사업을 신속히 지원하겠다 밝혔다.

기사에 대한 본인 생각 / 마침

블록체인 사업은 경제사정이 좋던 안 좋던

여전히 발전을 이루면서 산업을 이루고 있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아마도 전기차 산업 후에 블록체인 산업에 뒤이어

전기차의 보안과 관련하여 블록체인 산업이 흥을 이루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블록체인 산업은 현재 게임하고의 연관성을 이루는데 가장 많이 협업을 이루고 있는데

이 게임이란 게 어차피 온라인 알피지 게임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현재 블록체인은 메타버스 산업과 이어지기 위해서 여러 시도들을 하고 있는데

이 메타버스는 또 한 번 스마트 시티와 동일시되며 산업군이 발전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버블닷컴도 10년이 지나야 좀 제자리로 돌아왔는데.
2018년에 한차례 비트코인 붐이 일었으니

2028년 정도까지 비트코인이 다시 한번 대 상승할 수 있을까요?

기대해봅니다.




오늘도 재밌게 보셨다면
로그인이 없어도 가능한
❤️공감, 하트❤️
댓글 부탁드려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